84억원, 363억, 667억원



이것은 메이저리그나 프리미어리그의 선수들 연봉이 아닙니다. 우리의 추신수 선수의 올해 연봉이 대략 199억이라고 하니 삼성전자 등기임원의 평균연봉보다 두배가 넘는군요. 세계 최고의 삼성전자 등기임원 연봉도 메이저리그급은 못되네요.


 하지만 추신수 선수마저도 초라한(?) 연봉으로 만드는 회사원(?)들이 있었으니 바로 애플의 임원들입니다. 평균연봉이 667억원입니다. 루니의 올해 주급은 30만파운드이므로 그의 연봉도 고작(ㅋ) 구글 임원수준도 안되는군요.



삼성전자는 지난해 228조7000억원의 매출과 36조70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지만 겨우(!) 4명의 등기임원이 평균 84억원을 받았습니다. 즉 삼성은 4명의 임원만이(애플은 5명) 그같은 천문한적인 연봉을 받았을 뿐이네요. 


삼성전자의 직원수는 대략 10만명정도입니다. (2012년 12월 기준, 9만700명) 10만명 중에서 4명이라고 하면 25,000대 1의 무시무시한 경쟁에서 살아남아야만 애플 임원의 12.5%에 불과한(!) 연봉을 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삼성전자의 임원수가 1100명정도라고 하니 275명중 한명이 되어야 구글의 23% 수준의 급여를 받을수 있습니다. 구글과 애플보다 거대한, 세계 최대의 IT회사인 삼성전자 등기임원 4명의 평균연봉 84억은 결코 많은 것이 아닙니다. 




좀더 허무한 연봉이야기를 해볼까요? 도민준 만큼이나 별나라 이야기인 연예계, 스포츠계 스타보다 더 먼나라 별이야기입니다. 실리콘밸리의 IT기업 임원이라고 해봤자 고작 1천억도 안되는 수준에서 탑10이 줄을 섭니다. 


가장 많은 연봉을 받는 선수(!)는 애플의 기술담당 부사장이 914억원을 받아서 최고 많다고 하는데 정작 다른 업종의 돈잔치에 비하면 돌잔치(?) 수준에 불과하네요.


페이스북, 트위터 등으로 대박부자 대열에 오른 젊은애들의 뻥튀기 주식과는 다른 전문경영인으로서 받는 최고의 연봉은 역시나 금융권입니다. 핌코(Pimco)라는 자산운용사를 아시나요? 수조달러를 굴리는 채권펀드 운용사라고 하는데 월스트리트의 흔한 회사중에서도 몹시도 거대한 회사인 모양이네요.



쫓겨나는 CEO와


그보다 2배를 더 받는 CIO


이 회사의 CIO인 빌 그로스의 지난해 연봉은 무려 2140억원입니다. 그는 어떻게 쫓겨난 CEO(모하메드 엘에리언)보다 2배 많은 연봉을 받고 있을까요? 이유는...그가 바로 핌코의 창업자랍니다.^^ 얼마나 대단한 회사길래 딸랑 두명이 3천억원 이상이 수익을 가져가네요. 






반응형
posted by 18그램



'술친구는 친구가 아니다'라는 우리속담이 있습니다. 

역시나 사람은 친구를 잘 사귀어야 합니다. 아무리  물론 '끼리끼리 논다'라고 해도 본인이 엉망이면 친구라도 잘 사귈것이지. 하긴~! 그런식의 질펀한 인생을 살다보면 정신 제대로 박힌 친구들을 만나기는 힘들겠죠.



클릭하면 좀 커지긴 하는데...한국인은 없습니다. ㅋ



이래저래 찌라시같은 잡지들의 VIP인 린제이 로한(Lindsay Lohan)이 작성한 36명의 남자들의 명단이 공개되었습니다. 이들 명단은 헐리우드 조기축구회 회원명단이 아니라 다름아닌 한때 그녀가 고추잠자리(ㅋ)들입니다. 



비록(!) 딱 절반에 불과한 18명만 실명이 공개되고 나머지는 샤샤샥(!) 처리되었지만 헐리우드는 살짝 뒤집어질 뉴스이네요.



이 소녀에 대한 아련한 기억만 남는건가?




자필로 작성된 리스트는 '인터치위클리'라는 거시기한 매체가 린제이 로한의 친구로부터 입수한 것입니다. 


지난해 1월, 비버리힐스의 한호텔에서 만취한 린제이로한이 술김에 작성한 리스트를 슬쩍한 친구가 팔아먹은 것이겠죠. 


그녀는 리스트를 '자신이 정복한 남자들'의 목록으로 여긴다고 하는데 역시나 헐리우드스럽네요. 뭐~ 믹재거(롤링스톤즈)는 4천명, 진시몬즈(KISS)는 4897명라는 어마어마한 숫자를 떠벌린적이 있다는데...그들은 만취해도 전부 적을수는 없겠네요.





그럼 밝혀진 남정네들고 밝혀지지 않은 남정네의 차이는 뭘까요? 폭로직전 잡지사에서 36명의 남자들에게 연락을 해서 요망한(?) 딜을 했을까요? 유부남이나 현재 열애중인 이들은 제외했다고 하지만 매우 의심스럽습니다. 



아마도 뒷수습이 어려운 나름 까탈스러운 명단은 제외하고 일차적으로 절반만 공개한듯 합니다. 분명 나머지도 조만간 공개되겠죠.


콜린 패럴, 저스틴 팀버레이크, , 에반 피터스 등 나름 자기들끼리는 대단하다는 남자들이 꽤 있기 때문에 헐리우드가 발칵 뒤집어 질것 처럼 말하지만 그런 걱정따위는 안해도 될듯 합니다.



아마도 리스트에 적힌 남자들은 대부분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었고 (뜻하지 않게) 공개될 가능성도 충분히 예상했을거니까...(그런데 브루스윌리스 당신은 왜 거기에?)



그나저나 86년생, 이제 겨우(?) 28살인 린제이 로한의 이러한 추태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한때 팬으로서) 걱정되네요.  만취한 상태에서도 기억속의 남자들을 빠짐없이(?) 적어내려간 걸 보면 아이러니하게도 그녀는 사랑이 몹시도 그리운 모양입니다. 








반응형
posted by 18그램




아랍에미리트연합(UAE)에서 한낱 휴대전화에 불과한 번호(따위)가 23억 원에 팔렸습니다. 민간인(!)의 입장에선 어이가 없는 돈지랄로 밖에 안보이네요. 도대체 그나라 석유부자들은 돈이 얼마나 많길래 핸폰 번호따위에 로또 두세번 당첨되어야 만져볼 돈을 던져버리는 걸까요?



경매업체(에미리츠옥션)이 지난 3월8일 진행한 경매에서 구분번호를 제외한 일곱자리가 모두 ‘7’로 이뤄진 번호(0507777777)가 787만7777디르함(약 22억8600만 원)에 팔렸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0507777770’은 3억6천에 낙찰되는 등 10개 번호 낙찰가만 무려 40억2천만원이랍니다. 미췬~!



중국인들의 황금에 대한 집착보다 더 무서운것이 중동 석유부호들의 행운번호에 대한 집착일까요? 이번 모두 70개의 휴대전화 번호가 판매되었다고 하는데 아마도 이들 번호를 낙찰받은 부자들의 핸드폰은 듀랄미늄 케이스에 황금코팅을 하고 다이아몬드 버튼이 박혀있겠죠?



인구가 270만명에 불과한 아랍에미리트는 1인당 GDP는  2013년 기준으로는 19위까지 곤두박질(?) 치고 있습니다. 중동권의 카타르(2위), 쿠웨이트(13위)에도 밀리는 현실이죠. 아마도 두바이의 파산(?)이 한몫한 듯 싶습니다. 즉 아랍에미리트의 부호도 많겠지만 다른 중동의 아랍국가들에 부호들이 널렸다는 의미죠. 




이들 아랍권의 부호들은 독재자들의 왕국과 비슷한 저택에 살고 있으며, 심지어 전쟁을 대비해서 지하벙커까지 마련해 둔 경우도 있습니다. 자동차를 백금이나 황금으로 도색할 지경인데 핸폰 번호에 겨우 수십억 배팅하는 것은 말그대로 껌값(!)이겠죠. 





일시불...낼 출고 되남유?



이젠 실증난 황금도색 페라리


이들 부호들 중에서도 가장 많은 부를 자랑하는 이들은 사우디의 대기업(대부분 국영)을 가지고 있는 왕족들이고 결국 이모든 것들이 오일에서 시작되는 것입니다. 

제발이지 꼴사나운 돈지랄 보기 싫으니 신재생에너지 팍팍 보급하고, 전기차만 팔리는 시대가 빨리 왔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posted by 18그램



미국 전역이 명문대 재학중인 여학생 때문에 시끌



미국명문대의 여학생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화제의 중심에 선 여성은 바로 듀크대 (여성학과) 1학년에 재학중인 벨녹스(belle knox)입니다. 우리나라 나이로 올해 20살이라는 이 여학생이 CNN 토크쇼에 까지 출연하게 된 사연은 뭘까요?


6만달러에 달하는 학비를 해결하고자 고작 500달러에 불과한 출연료를 받고 노골(?)적인 영화에 출연했던 녹스는 같은 학교 학생에 의해  출연사실이 밝혀졌습니다. 토머스 베글리라는 공대생이 우연히(?) 보게된거죠. 그녀석이 인터넷에 '우리학교에 ***에 출연하는 여학생이 있다'라고 올리기 시작하는 순간 엄청난 파장이 시작됩니다.




처음엔 겁났지만 이제는 너무 좋다? 



소문이 확산되자, 녹스는 학보사에 '로렌'이라는 가명으로 인터뷰를 하게 됩니다. 학비를 감당하지 못해서 출연하게 되었고 '시작할때 느꼈던 두려움과는 달리 스릴과 (상상이상의?) 즐거움을 느끼게 되었다'고  답변한 그녀는 사람들의 예상(죄책감?)을 제대로 빗겨 나갑니다. 비록 가명으로 진행된 인터뷰에 불과했지만 그녀의 이러한 자신감(?)은 엉뚱하게도 팬덤을 만들게 됩니다.



인터뷰 직후, 곧바로 그녀를 수면위로 올려준(!) 공대생의 신상이 밝혀지고 녹스는 순식간에 극과 극에 배치한 손가락질과 박수를 받게 됩니다. 미국이라는 곳이 미디어와 네티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면 그 이유를 막론하고 흥행의 대상이 되죠. 녹스가 의도한 방향인지는 모르겠지만 결국 그녀는 전 미국인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사진으로 알수 있듯이 지극히 평범합니다. 어쩌면 그 업종에서는 좀 부족하다 싶은 외모와 몸매임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공중파 인터뷰로 인해 출연료는 무려 수만달러까지 치솟아 올랐습니다. 감당치 못할 학비 떄문이라면 본인은 원하지 않았다는 것인데, 이젠 한두편만 출연해도 졸업때까지 학비는 충분히 마련할 수 있겠네요.




더 얻고자 하는건가? 다 포기한건가?



이제 작정하고  나섰습니다요.



하지만, 그녀는 출연작들을 모아서 웹사이트를 개설했고 신작까지 제작했습니다. 전혀 예상치 못했던 반응에 홀린걸까요? 비난하는 사람들을 향해 '정작 당신은 즐겨보면서 왜 출연한 배우들을 비난하느냐"고 역공세를 하는 그녀는 일종의 페미니스트가 된 듯 합니다. 학비만 벌고 다시 명문대 여학생으로 돌아가기엔 너무나 많이 노출되었기 때문일까요? 자신감이 아니라 많은 것을 포기한 듯 싶네요.



만약 그녀가 듀크대 재학생이 아니라 이름도 생소한 대학교에 재학중인 여학생이었다면 많은 이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을까요? 수많은 그쪽업계 배우중에 대학을 졸업했거나 재학중인 출연자들이 한두명은 아닐텐데...역시 한국이나 미국이나 명문대에 대한 시선은 다를바 없는것 같네요. 뭘해도 명문대라서 더 화제가 되는 세상이니...(수많은 그녀들은 다시 SAT보는 것이 더 나은 장사일듯...)






반응형
posted by 18그램

성룡의 더블JC(JJCC), K팝의 새로운 도전?

좌충우돌 2014. 3. 10. 14:03




드디어 세계적인 스타들까지 K팝의 확장세에 참지 못하고 직접 사업에 뛰어들 기세입니다. 비록 평가가 엇갈릴지언정 그래두 홍콩스타라는 수식어를 수십년간 타이틀로 달고 다녔던 '성룡'이 직접 K팝을 겨냥한 아이돌 그룹을 만들고 3월중으로 데뷔 시킬 예정입니다.



더블JC, 그는 재키찬이 두명이 되길 바라는건가?



성룡의 더잭키찬그룹코리아에 의해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데뷔를 앞둔 남성 5인조 JJCC는 아시아가 뭉친 글로벌 아이돌이라고 하는데...암튼 성룡이 직접 철저하게 기획해서 만든 아이돌이라니 뭐가 다를지 궁금합니다. (기존 아이들과는 컨셉 자체가 다르다고 하니) 휙휙 날아다니며 액션이 난무(!)하는 소림사급 아이돌 그룹이 될런지...



한두달 준비한것도 아니고 몇년동안 엄청난 훈련(?)을 해왔다고 하니 내공이 어느 수준이상을 될듯 싶네요. 그런데 혹시나 하는 노파심을 숨길수가 없네요. 성공한 K팝 아이돌 그룹이 되기 위해선 출처가 'made in Korea'가 필수 아닌가요? 아무리 기존의 성공요소를 철저하게 분석해서 만든다고 하더라도...'한국'과 '성룡'이라는 두가지 마케팅은 선택과 혼합이 어려울 듯 합니다.


K팝이라는 것이 철저하게 기획사의 기획력과 마케팅에 의해 출시되긴 하지만 성공여부는 결국 팬들이 결정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글로벌 팬들은 출처에 매우 민감하더군요. 지금껏 일본, 중국, 대만등에 K팝 그룹보다 더 나은 노래와 실력을 가진 아이돌 그룹이 없었을까요? 



그들은 온라인(유튜브 등)을 통한 마케팅을 모를까요? K팝 그룹의 성공은 단순하면서도 원칙적입니다. 즉, 'made in Korea'여야 한다는거죠. 성룡이 아무리 '친한파' 홍콩스타라고 할지라도 그는 'made in Korea'가 아닙니다. 설사  그가 기획한 JJCC 멤버중 4명이 한국인들로 구성된 그룹이라고 할지라도 기준의 순수 토종(?) 아이돌기획사에 비해서는 많은 난관을 뛰어넘어야 할듯 싶네요.



또다른 조력자의 내공과 성룡의 마케팅....반드시 성공할 것이다


국내 미디어에서 JJCC를 K팝 아이돌 그룹이라고 기사화할 뿐, 해외뉴스에서는 대부분  단순히 'Idol Gruop'으로 소개합니다. 그리고 일부에서는 다섯명 모두 한국인 멤버라고 하는데 아마도 소속사의 발표가 맞겠죠? JJCC는 알려진대로 20대 초반의 한국인 멤버 4명과 중국인 멤버 1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성룡이 기획, 오디션(발탁), 트레이닝, 프로듀싱까지 모든 과정에 참여했다고 하는데 정작 여기에 우리네 미디어가 간과한 사람이 있었네요.


2월 22일, 기사에 의하면 JJCC의 프로듀싱에 참여한 또 한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한국 힙합의 원조격인 현진영입니다. 멤버들은 외모는 물론이거니와 댄스, 보컬, 랩까지 다양한 실력을 겸비할 수 있도록 무~려 8년이나 트레이닝을 받았다고 하니 뭐 이건 강력한 팬덤이 예상됩니다.


8년전부터 현진영이 참여한 것은 아니고, 3년전 쯤에 성룡이 직접 현진영에게 러브콜을 보내서 더블JC의 프로듀싱을 제의했다고 합니다. 현진영의 인터뷰에 의하면, 멤버들 모두 굉장히 독특하고 마치 다른세계에서 온듯하게 춤과 마인드가 다르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별에서 온 도민준? ㅋ



암튼간에,

더블 JC에 대한 내용은 워낙에 철저하게 비밀을 유지하고 있기때문에 며칠더 두고봐야 그들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어쩌면 성룡이 '사랑하는 한국'에게 또하나의 '멋진 선물'을 하게 될지도...


<Added>

3월 8일, 더블JC의 멤버가 공개되었군요. 프린스맥, 산청, 에디,이코, 심바...그들의 이름은 이렇습니다. 심바가 유독 관심이 가네요. 타이틀(?)곡은 '처음엔 다그래'입니다. 정말 처음엔 다 그렇던데...ㅋ









반응형
posted by 18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