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통계 멱살잡기 : 100세 이상 초고령의 성별 불균형을 깨는 방법 100세 이상 초고령 여성이 6배2025년 현재, 우리나라의 100세 이상 초고령 여성은 6,527명이다. 남성은 1,102에 불과하다. 예상은 했겠지만 무려 6배다. 100세 이상 뿐만아니라 90대 고령자도 여성이 압도적이다. 80대로 내려와야 남성 비율이 40~50%정도로 늘어날뿐, 62세까지 내려와야 역전된다. 즉, 대략 환갑 넘어가면 남자는 어떤 방식으로든 여성보다 빨리 사라진다. 같은 남성으로서 심란하다. 100세 이상 초고령 인구는 2000~2005년 그 즈음엔 900명대에 불과했다. 한동안 정체되었던 초고령층은 2005년 이후에 5년주기로 2배씩 늘어나 현재 6500명에 이르렀다. 아마도 10년후엔 3만명에 육박하지 않을까 예상해본다. 참고로, 일본은 9만5천명이 넘는다. 인구는 1.2배인데.. 더보기
국민연금 잡담 : 어지간히 해라. 오래 사는 것도 실력이다. 23년간 연금수령과 이준석의 오지랖  "아직 태어나지 않았거나 정치적 권리를 행사할 수 없는 아이들에게 미래의 세금과 재정 부담을 떠넘겨 현재의 표를 얻는 복지 정책을 실행한다면 그것은 폰지사기와 다를 바 없다" -이준석예전부터 그랬지만 개혁신당은  갈라치기에 능하다. 이준석이 오랫동안 국민연금을 수령한 분의 내역서를 올리며 작금의 연금정책을 비판했다. 그의 발언을 잘 들여다보면 조건문이다. "~실행한다면...그것은 폰지사기"  늘 이런식의 말장난이 이준석이나 그 당의 특기다. 묘하게 개구멍을 만들어 놓고 세대를 갈라치기 하려는 의도가 보인다. 적어도 웬만큼 나이들었다면 그의 발언이 참신하지도 않고 매우 계산적이라는 것을 쉽게 알수 있다.  이준석이 페이스북에 한 시민의 국민연금 내역서를 퍼다 올렸다. .. 더보기
탈모약과 비만치료제의 사이에서 일론 머스크 멱살잡기 !! 무의식의 흐름속에서 샛길로 빠질 수도 있으므로 주의바람. 탈모약을 먹고 있다. '늙는 것도 서러운데 머리카락까지 배신 때리니 우울하다'고 할 것 같나? 전혀 아니다. 유명인도 아니고, 새로운 이성을 만날 생각도 없으니 머리카락 좀 빠지는 게 뭐 대수롭겠나. 살다보면 훨씬 심란한 고민거리가 많으니 고민 축에도 못낀다. (로또 1등이 안되는 것이 고민이다. 될 때도 됐는데...) 탈모인이라면 잘 알고 있듯이 탈모약은 엄청난 기능이 있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3개월 이상 복용하면 3% 정도는 성욕이 감퇴된다는 것. 혹자는 '정력 감퇴'라고 한다. 넘치는 힘을 주체 못한다면 이 얼마나 대단한 효능인가? 조절 못하는 힘은 폭력이고 미치광이로 취급 받는다. 조절 못해서 사고치는 놈들은 제발이지 3%에 해당.. 더보기
'감사합니다'와 '고맙습니다'의 사이에서 헤매는 이유 감사합니다 vs 사랑합니다정중함의 차이? 한자가 더 정중하다고?‘감사(感謝)합니다’와 ‘고맙습니다’ 헷갈리지 않나? 나만 그런건가? 동의어 인지, 사용해야 할 상황이 다른건지 수십년을 한국인으로 한국말을 써왔지만 헷갈린다. 공돌이 출신이라서 (초등학생도 다 알고 있을) 것을 모르는 건지... 그래서 찾와 봤다. 한국어문화학과 교수가 10여년전에 작성한 컬럼을 보니, 네티즌은 ‘감사합니다’를 ‘고맙습니다’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한자가 들어가는 ‘감사합니다’는 우리의 고유어 ‘고맙습니다’보다 정중한 표현으로 쓰인다는 것이 정설(?)이다. 혼술아저씨가 별거아닌 것에 헤매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었다. 정중함과 상관없이 두가지 표현을 혼용해서 사용하다보니, 상대와 상관없이 즉흥적으로 튀어나오는 .. 더보기
사교육 부담의 원인은 입시 경쟁이 아니다 욕심만큼 늘어나는 사교육비결론: 1차적인 원인은 부모의 욕심이 나라에서 입시경쟁은 오랜 기간 사교육의 원흉으로 낙인찍혔다. 특히, 쓸만한?대학 진학이 개인의 사회적 위치 뿐만아니라 경제적 성공까지 결정하는 열쇠로 인식되면서 사교육비 부담이 극심해졌다고 여겨왔다. 뭐가 중헌지도 모르면서 앞뒤를 분간 못하는 전문가 나부랭이 땀시.능력이 있든 없든, 부모들은 자식들의 성적이 오를수만 있다면 가당치도 않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으며, 이는 가정 경제에 큰 부담을 준다. 학생 본인이 원해서? 원한다고 능력도 안되는 학원비를 감당하는 것은 정상이 아니다. 그나마 가장 쉽게 자위할수 있는 것이 교육비다. 당장 10억짜리 아파트 잔금을 치르는 것도 아니고...허나! 소득에 따라 교육격차가 있음을 인정하지 못하면 자발적인.. 더보기
세계 최장신 거인? 키와 유전의 영향력에 대한 불량 잡담 ☞ 2018년에 작성한 글에 대한 업데이트 포스팅이다. 기네스에 오른 역사상 최장신은 272cm 기네스에 오른 역사상 최장신은 272cm이다. 이 수치는 로버트 와들로(Robert P. Wadlow, 미국)의 공식기록인데 1940년, 22세의 나이로 숨졌을 때 측정된 (비공식) 기록은 285cm라고 전해진다. 그가 요절하지 않고 더 살았더라면 얼마나 더 컸을까? 하고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꽤 많았다고 한다. 3m를 넘는 공인기록자가 역사상 단 한번도 없었기 때문이다. 312cm였다는 청나라 시대 남자는 230cm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되고, 1990년대 비공인 기록으로 315cm 였다는 미드레드(짐바브웨, mildred)라는 여성의 사진과 기록은 모두 거짓으로 판명되었다. .. 더보기
즉흥과 계획 사이에서: GD보다 노홍철의 삶이 부럽다 #계획대로 늙고 있어 최근, 노홍철이 SNS에 “계획대로 늙고 있어”라고 올린 해시태그가 신선한 자극이 되었다. 말이 되는 소리인가? 계획대로 늙고 있다는 것이 신박한 자극이 된 이유는 2가지다. 계획대로 되지 않는 것이 인생의 진리(?)인데 공개적으로 진리에 반하는 해시태그를 올려서 놀라웠고, 그 주인공이 바로 노홍철이라서 또 한번 놀랐다. 전혀 계획대로 살지 않을 것 같은 즉흥적인 삶의 끝판일 듯 한데...'인생은 계획대로 되지 않는다'나이를 막론하고 인생을 삶면서 누구나 겪어 봤을 이 진리는 우리를 좌절하게도 하지만, 때로는 예상치 못한 희망, 혹은 행복을 안겨다준다. 뭔소리냐고?이별의 아픔 뒤에 새로운(더 예쁜) 사랑(여자)를 만나기도 하고. 입시 실패 뒤에 (쓰디쓴 재수생활 끝에) 더 좋은 대학.. 더보기
'편집'과 '조작'의 해석에 요동치는 (어쩌면) 미래 권력 여의도콘서트의 코미디는 이전투구진흙탕 속 개싸움도 아니다. 놈들은 치열함이라도 있지.여야 양당의 정쟁은 거의 모든 것이 유치하고, 그 발언들의 가벼움은 몸서리 칠 정도다. 한시도 입을 다물지 못하는 그들을 보면 겁에 질려 덤비지도 못하는 그것들과 별반 다르지 않은 듯. 가만 보고 있으면 '개그콘서트가 폐지된 이유가 국회콘서트 때문'이라는 말이 우스개 소리가 아니다.시국이 하 수상하니 이런저런 선동을 일삼는 자들이 들끓고 있다. 다시 말하지만 '혼술아저씨'는 좌우도 아니고 여야 특정당을 지지하지도 않는 무채색이다. 내일이면 (어쩌면)미래 집권자가 될 이재명의 2심 선고가 나온다. 어떻게 나오든 정치적 파장도 크고 분열은 가속화되겠지만 (현명한 국민이) 그 또한 이겨낼 것이다. 정치에 무관심하거나 정치에 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