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와 코스닥은 무서운 기세로 치고 올라가고 있는데 우리나라 공학박사 주가는 반대로 곤두박치고 있나보다. 꽤 오래전 이지만...학교(공대)다닐때 해외 유명대학의 박사가 아니더라도 국내의 그저그런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으면 3대기업 전가계열사에 과장급으로 입사하는 것이 통상적인 대우였다. 지금으로 치면 입사 9년차 과장(연봉 9천만원)이 되는 것이다. 배치 부문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대략 그정도였는데...최근 3년새 열악해진 공학박사의 현실은 완전히 처첨한 듯 싶다.



지난해 통계청이 내놓은 ‘국내 신규 석·박사 학위 취득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6년 8월과 2017년 2월에 한국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은 이들 가운데 졸업시 취업못한 비율은 26.1%다. 3년 전과 비교해 1.9%포인트 높아진 수준이라는데 참 딱하기도 하다. 2018년 올해 1월에 사법연수원 47기수료생 171명중 50.66%만 취업했다고 하니 고학력 취업률이 너무 비실대는 느낌? 취업 못하는건 똑같은데 누군 편의점 알바, 누군 변호사 사무실 개업...뭐가 좋은가?




공학박사들의 취업률보다 더 주목을 끄는 것은 그들중 취업한 3/1의 연봉 수준이다. 4명 중 한명이상은 취업도 못하고 그나마 취업한 박사들 중 연봉이 5000만원 이상 54.2%로 전년보다 10%이상 하락했다. 사실 예전부터 국내박사의 메리트는 그닥 많지 않았다고 하지만 해외박사는 다를려나?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소득은 5천10만원이다. 나홀로 가구의 평균은 대략 1900만원 정도이니 공학박사의 신입 연봉이 5천만원이면 상대적으로 비참한 정도는 아닌듯?



좀 묵은 자료이지만 2012년 교수신문의 발표에 의하면, 국내박사와 해외박사의 비율은 대충 반반(53:47)이다. 공학박사의 비율도 거의 유사(52.6:47.4)하다. 그리고 그들이 임용되는 평균나이가 39세라는데...이들의  학위취득 나이는 대략 30대 중반이다. 20대 중반에 대기업에 취업해서 10년간 근무, 과장급이 되면 연봉은 최소 7천만원에서 모바일이나 반도체 부문일 경우 억대를 훌쩍 넘어갈 것이다. 대졸 신입과 박사 신입의 나이 차이를 10년이라고 가정하면 손익계산이 어떻게 나올런지...








<추가잡담1>

SKY출신의 공대 석사를 받고 어느 대기업에 입사한 신입 사원이 특성화고(예전 공고)를 졸업하고 6년동안 현장 근무를 하며 병역까지 마친 한 또래의 직원에게 (가벼운 구타?를 포함한) 핀잔을 들어가며 신입 OJT를 받았다. 근데 정규직인 둘의 연봉은 석사가 많을 듯 한가? 6년 입사선배가 훨씬 더 많더란다. SKY보다 특성화고가 가성비가 좋다는 의미가 아니다. 회사마다 다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다를수 있다는 잡담일뿐...ㅋ





posted by max7star